부수214자 익히기2 - '丨(뚫을 곤)'을 부수로 하는 한자

2024. 7. 25. 22:51부수로 익히는 한자

728x90

부수214자 익히기2 - '丨(뚫을 곤)'을 부수로 하는 한자

1. 丨 (뚫을 곤)

 

훈음: 뚫을 곤

총획: 1획

육서: 지사자 (세로획으로 "설문해자"의 해석처럼 "위아래로 관통한 것"을 말함)

* 현대 한자에서는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없다.

쓰임: 丨으로 구성된 글자는 모두 '관통하다'는 뜻이 있다.

 

 

2. 中 (가운데 중)

훈음 : 가운데 중

총획 : 4획

육서 : 상형자 ( 갑골문에서 보면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을 그림)

한자어 : 중앙(中央), 중심(中心), 적중(的中)

성어 : 십중팔구(十中八九), 백발백중( 百發百中)

 

3. 串 (곶 곶, 꿸 천, 꿸 관, 익을 관)

훈음: 곶 곶, 꿸 천

총획: 7획

육서: 상형자 (어떤 물건을 꼬챙이로 꿰놓은 모습인데,

지금의 꼬치와 같은 것으로 생각하면 됨)

* 「관」의 본음(本音)은 「환」. 「곶」으로는 우리나라에서만 쓰임.

고대(古代)에 화폐(貨幣)로 사용(使用)되었던

조개를 실로 꿴 모양을 본뜬 글자.(네이버 오픈사전 참조)

**바다 쪽으로, 부리 모양으로 뾰족하게 뻗은 육지(陸地).

***‘바다로 뻗어 나온 모양을 한 곳’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接尾辭).

한자어: 관시(串柹), 곶감 (串甘)

우리나라 지명 사용: 호미곶( ;경상북도 동해안 끝에 

영일만을 이루면서 바다에 뻗쳐 있는 (). )

 

 

 

 

 

 

2024.07.19 - [부수로 익히는 한자] - 부수214자 익히기1 - '一(한일)'을 부수로 하는 한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