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대사범(2)
-
대한검정회 대사범..폭군이 된 마지막 왕 – 상나라 주왕 이야기
폭군이 된 마지막 왕 – 상나라 주왕 이야기『史略』 중 商紂王조1. 출전 소개『사략(史略)』은 원나라의 사가 송렴(宋濂)이 편찬한 사서로, 고대부터 송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사건과 인물을 간결하게 정리한 통사적 성격의 책입니다. 아래 구절은 상(商)의 마지막 왕 주왕(紂王)의 방탕과 폭정을 묘사한 부분입니다.2. 원문 · 독음 · 해석原文歷太丁 帝乙하고 至帝辛하니 名은 受오 號為紂라 資辯捷疾 手格猛獸 智足以拒諫 言足以飾非 始爲象箸하니箕子歎曰 彼爲象箸어늘 必不盛以土簋 하고 將為玉杯로다 玉杯象箸면 必不羹藜藿하고 衣短褐하고 而舍茅茨之下하여則錦衣九重과 高臺廣室하리니 稱此以求면 天下不足矣라 紂伐有蘇氏하니 有蘇以妲己로 女焉이라 有寵하야其言을 皆從이러라 厚賦税하야 以實鹿臺之財하고 盈鉅橋之粟하며 廣沙丘苑臺하고 以酒為池..
11:12:44 -
대한검정회 대사범... 각력지희(角力之戱), 조선의 단오 씨름을 엿보다
원전 소개『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조선 후기 홍석모(洪錫謨, 1781~1857)가 정월부터 12월까지 윤달을 포함한 일 년간의 세시풍속을 집대성한 기록물이다. 호는 도애(陶厓)이며, 벼슬을 그만두고 팔도를 두루 여행하며 수집한 민간 세시와 놀이 풍속을 정리한 이 책은, 중국의 『세시잡기』·『형초세시기』 등 영향 아래 내용이 풍부하게 첨가되고 보완된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지로 평가된다. 편찬자 홍석모는 조선의 관료이자 풍속기록가로, 젊은 시절부터 전국을 유람하며 각 지방의 사례를 취재했다. 그 결과 이 책에는 우리 국토 전역의 풍습이 다양하게 담기게 되었다.원문, 독음, 해석원문: 丁壯年少者 會於南山之倭場이나 北山之神武門後하여 爲角力之戲하여 以賭勝負라。독음: 정장년 소자 회어 남산지 와장이나 북산지 신무..
10: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