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18. 00:07ㆍ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한자(대한검정회급수)
대한검정회 대사범금 기출문제.. 상진황축객서 일부

사범을 마무리한 학생들을 위해 자료를 만들다
시험을 위해 익혔던 나도 다시금 공부하며 글을 올려본다,
是以로 地無四方하고 民無異國하여 四時充美하고 鬼神降福하나니 此五帝三王之所以無敵也니이다
이 때문에 땅은 사방(四方)을 가릴 것이 없고 백성은 다른 나라를 가릴 것이 없이, 사시사철 충만되고 아름다우며 귀신이 그에게 복을 내려주니, 이것이 오제(五帝)와 삼대(三代)의 왕들이 적이 없었던 이유입니다.
( 앞 부분에 삼황오제들이 유세객에 어떠한 정치를 하고, 유세객이 어떤 일들을 하였는지에 대해 이야기 한 부분이 있다)
今乃棄黔首以資敵國하고 郤賓客以業諸侯하여 使天下之士로 退而不敢西向하여 裹足不入秦하시니 此所謂藉寇兵而齎盜糧者也니이다
지금은 백성들을 버려서 적국에 도움이 되게(資) 하고 빈객(賓客)을 물리쳐(郤) 제후들에게 패업을 이루도록 하여, 천하의 선비들로 하여금 물러나서 감히 서쪽으로 향하지 못하게 하고 발을 묶은 채 진(秦)나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니, 이것은 이른바 적에게 무기를 빌려주고 도둑에게 양식을 가져다주는 것입니다.
夫物不産於秦이나 可寶者多하고 士不産於秦이나 願忠者衆이니이다.
물건이 진(秦)나라에서 나지 않았지만 보배가 될 만한 것이 많고 선비가 진(秦)나라에서 태어나지 않았지만 충성하고자 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古文眞寶》
*오제(五帝)...황제(黃帝), 전욱(顓頊), 제곡(帝嚳), 요(堯), 순(舜)을 가리킨다.
*삼왕(三王)...하(夏)나라의 우왕(禹王), 상(商)나라의 탕왕(湯王), 주(周)나라의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을 가리킨다.
*黔首(검수;검을검 머리 수): ‘검은 두건(頭巾)을 쓴 머리’라는 뜻으로, 일반(一般) 백성(百姓)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고대(古代) 중국(中國)에서 평민(平民)들이 머리에 검은 두건(頭巾)을 쓴 데서 비롯된 말이다.
*郤(틈 극 물러날 각): 물리치다로 해석되니 '각'으로 독음이 될듯
*藉寇兵(자?구병;깔개 자/짓밟을 적.바칠 적-도둑 구-군사병) ...적에게 군사를 빌려주다
.... 독음이 헷갈려 찾아보니...'자. 차'로 쓰여 있었다. 하지만 번역이 저렇게 빌려주다 해석된다면 '적'이 맞지 않을지... 하고 중국어를 찾아보았다
- 藉(jiè):通“借”,意为给予、提供。
중국에서는 빌릴 借로 인식한다고 한다.
그래서 '차'로 읽는 것이 맞나보다.
- 寇兵:指敌人的武装力量或强盗的武器。
*齎盜糧(재?도량;탄식소리 재/가져갈제-훔칠 도-곡식량)... 도적에게 양식을 가져다 주다
라는 틋이니 여기 역시 '재'가 아닌 '제'여야 할듯 한데...
赍(jī):赠送、资助。
盗粮:供给盗贼的粮食。
깊이 있게 공부하면..이런 병폐가 발생한다.
하지만 의혹이 공부의 시작이다.
아마도 꾸준히 내가 의혹을 제기하면
스승이 되어주실 분이 분명히 계실거라 믿는다.
지금 나에게도 한유의 사설에 나오는 스승님이 필요한 시점인것을 느꼈다..^^~
'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 . 《대학》에서 배우는 德治(덕으로 다스리는 길) (0) | 2025.04.22 |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맹헌자의 말에서 배우는 국가 경영의 본질: "국은 의로움을 이익으로 삼는다" (0) | 2025.04.18 |
대한검정회 2급 한문 4탄 - 孟母斷機(맹모단기) (2) | 2024.11.30 |
대한검정회 한문 3탄 - 각주구검(刻舟求劍) (1) | 2024.11.28 |
대한검정회 2급 한시 5탄-大同江(送人);대동강(송인) (1)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