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와 속담 연결
2024. 11. 24. 23:35ㆍ고사성어와 속담 연결
728x90
매일 글을 쓰다보니, 내가 갖고 있는 재주는 한정되어있지만, 그 한정된 재주 속에 갖고 있는 지식은 꽤 되는 것을 느꼈다.
현장에서 지도하면서 어느 순간에도 질문에 대한 답을 바로바로 하기 위해 노력하는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래에는 잊쳐지는 것이 있다는 느낌이다.
그래서 생각나고, 정리해 두었던 것을 블로그에 올려본다.
오늘의 주제는
고사성어와 속담 연결
- 고사성어: 自强不息 (자강불식)
- 속담: "개천에서 용 난다."
- 속뜻: 끊임없이 스스로를 단련하고 노력하면 비록 어려운 환경에서도 큰 성과를 이룰 수 있다.
- 한자 분석:
- 自(스스로 자): [부수: 自, 활용 한자어: 自己(자기), 自立(자립)]
- 强(강할 강): [부수: 弓, 활용 한자어: 強大(강대), 强力(강력)]
- 不(아닐 불): [부수: 一, 훈음: 활용 한자어: 不安(불안), 不便(불편)]
- 息(쉴 식): [부수: 心, 훈음: 활용 한자어: 休息(휴식), 息災(식재)]
- 고사성어: 矛盾(모순)
- 속담: "말이 앞뒤가 다르다."
- 속뜻: 자신의 말이나 행동이 일관성이 없고 서로 충돌한다.
- 한자 분석:
- 矛(창 모): [부수: 矛, 활용 한자어: 矛頭(모두), 矛戟(모극)]
- 盾(방패 순): [부수: 目, 활용 한자어: 盾牌(순패), 攻盾(공순)]
- 고사성어: 塞翁之馬 (새옹지마)
- 속담: "세상일은 알 수 없다."
- 속뜻: 나쁜 일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고, 좋은 일이 나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 한자 분석:
- 塞(변방 새): [부수: 土, 활용 한자어: 塞外(새외), 塞車(새차)]
- 翁(늙은이 옹): [부수: 羽, 활용 한자어: 老翁(노옹)]
- 之(갈 지): [부수: 丶, 활용 한자어: 之行(지행), 之一(지일)]
- 馬(말 마): [부수: 馬, 활용 한자어: 馬車(마차), 馬力(마력)]
- 고사성어: 亡羊補牢 (망양보뢰)
- 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속뜻: 잘못을 저지른 후에도 뒤늦게라도 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 한자 분석:
- 亡(망할 망): [부수: 亠, 활용 한자어: 亡命(망명), 死亡(사망)]
- 羊(양 양): [부수: 羊, 활용 한자어: 羊毛(양모), 羊肉(양육)]
- 補(기울 보): [부수: 衣, 활용 한자어: 補充(보충), 補修(보수)]
- 牢(우리 뢰): [부수: 牛, 활용 한자어: 牢獄(감옥), 牢固(견고)]
- 고사성어: 百折不屈 (백절불굴)
- 속담: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속뜻: 끊임없이 노력하면 결국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다.
- 한자 분석:
- 百(일백 백): [부수: 白, 활용 한자어: 百貨(백화), 百姓(백성)]
- 折(꺾을 절): [부수: 扌, 활용 한자어: 折半(절반), 折衷(절충)]
- 不(아닐 불): [부수: 一, 활용 한자어: 不在(부재), 不知(부지)]
- 屈(굽힐 굴): [부수: 尸, 활용 한자어: 屈辱(굴욕), 屈折(굴절)]
- 고사성어: 吳越同舟 (오월동주)
- 속담: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
- 속뜻: 서로 적대 관계에 있던 사람들도 필요에 따라 협력할 수 있다.
- 한자 분석:
- 吳(나라이름 오): [부수: 口, 활용 한자어: 吳語(오어), 吳越(오월)]
- 越(넘을 월): [부수: 走, 활용 한자어: 越境(월경), 超越(초월)]
- 同(같을 동): [부수: 口, 활용 한자어: 同時(동시), 同意(동의)]
- 舟(배 주): [부수: 舟, 활용 한자어: 舟師(주사), 小舟(소주)]
- 고사성어: 天高馬肥 (천고마비)
- 속담: "가을은 농부의 계절."
- 속뜻: 가을이 풍요로운 계절임을 나타냄.
- 한자 분석:
- 天(하늘 천): [부수: 大, 활용 한자어: 天空(천공), 天氣(천기)]
- 高(높을 고): [부수: 高, 활용 한자어: 高度(고도), 高山(고산)]
- 馬(말 마): [부수: 馬, 활용 한자어: 馬車(마차), 馬力(마력)]
- 肥(살찔 비): [부수: 肉, 활용 한자어: 肥大(비대), 肥料(비료)]
- 고사성어: 四面楚歌 (사면초가)
- 속담: "끈 떨어진 뒤웅박. 광대끈 떨어졌다."
- 속뜻: 사방이 적에게 둘러싸여 절망적인 상황에 처함.
- 한자 분석:
- 四(넉 사): [부수: 囗, 활용 한자어: 四方(사방), 四季(사계)]
- 面(얼굴 면): [부수: 面, 활용 한자어: 面談(면담), 面目(면목)]
- 楚(나라 이름 초): [부수: 木, 활용 한자어: 楚地(초지), 楚辭(초사)]
- 歌(노래 가): [부수: 欠, 활용 한자어: 歌曲(가곡), 唱歌(창가)]
- 고사성어: 鯨戰蝦死 (경전하사)
- 속담: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 속뜻: 강자들 사이의 싸움이 약자들에게 피해를 준다.
- 한자 분석:
- 鯨(고래 경): [부수: 魚, 활용 한자어: 鯨魚(경어), 鯨戰(경전)]
- 戰(싸울 전): [부수: 戈, 활용 한자어: 戰鬪(전투), 戰火(전화)]
- 蝦(새우 하): [부수: 虫, 활용 한자어: 蝦米(하미), 蝦子(하자)]
- 死(죽을 사): [부수: 歹, 활용 한자어: 死亡(사망), 死因(사인)]
728x90
반응형
'고사성어와 속담 연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검정회 사범 기출 사자성어 (5) | 2024.11.27 |
---|---|
중국한시 번역 <漫成 其一> 두보...안병국역 (0) | 2024.08.13 |
속담과 성어를 연결하기 1탄 (0)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