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검정회 사범 기출 사자성어

2024. 11. 27. 23:16고사성어와 속담 연결

728x90

2월에 시험을 보는 학생이 있어 기존에 정리했던 자료들을 다시 정리 해본다.

쉽지 않은 시험인데, 꼭 한방에 합격하길 바라며 ...

1. 渴而穿井(갈이천정)

  • 훈음: 목마를 갈, 말이을 이, 뚫을 천, 우물 정
  • : 목이 마르자 그제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하지 않고 일이 닥쳐서야 급히 대책을 세움을 비유함.
  • 출전: 《후한서(後漢書)》
  • 활용: 사전 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

2. 擧案齊眉(거안제미)

  • 훈음: 들 거, 책상 안, 가지런할 제, 눈썹 미
  • :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린다는 뜻으로, 아내가 남편을 공경하고 사랑함을 비유함.
  • 출전: 《후한서(後漢書)》
  • 활용: 부부간의 화목과 존중을 나타낼 때 사용.

3. 倨傲鮮腆(거오선전)

  • 훈음: 거만할 거, 거만할 오, 적을 선, 고기 전
  • : 거만하고 무례하며, 다른 사람을 업신여긴다는 의미.
  • 출전: 미상
  • 활용: 타인의 거만한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

4. 蹇蹇匪躬(건건비궁)

  • 훈음: 절뚝거릴 건, 절뚝거릴 건, 아닐 비, 몸 궁
  • : 몸을 돌보지 않고 헌신적으로 임무를 수행함.
  • 출전: 《시경(詩經)》
  • 활용: 국가나 대의를 위해 헌신하는 사람을 칭송할 때 사용.

5. 乾坤一擲(건곤일척)

  • 훈음: 하늘 건, 땅 곤, 한 일, 던질 척
  • : 천지(乾坤)를 한 번에 걸고 던진다는 뜻으로, 모든 것을 걸고 단판 승부에 나섬을 비유함.
  • 출전: 《후한서(後漢書)》
  • 활용: 중요한 결단이나 승부를 내릴 때 사용.

6. 見蚊拔劍(견문발검)

  • 훈음: 볼 견, 모기 문, 뺄 발, 칼 검
  • :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크게 반응함을 비유함.
  • 출전: 《진서(晉書)》
  • 활용: 과도한 반응을 비판할 때 사용.

7. 結者解之(결자해지)

  • 훈음: 맺을 결, 놈 자, 풀 해, 갈 지
  • : 맺은 사람이 그 매듭을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문제를 일으킨 사람이 책임지고 해결해야 함을 비유함.
  • 출전: 《후한서(後漢書)》
  • 활용: 책임감이나 원인 해결의 중요성을 말할 때 사용.

8. 鷄鳴狗盜(계명구도)

  • 훈음: 닭 계, 울 명, 개 구, 도둑 도
  • : 닭 울음소리를 흉내 내거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비열한 술수를 사용함을 비유함.
  • 출전: 《사기(史記)》
  • 활용: 비열한 방법으로도 목적을 이루려 할 때 사용.

9. 股肱之臣(고굉지신)

  • 훈음: 넓적다리 고, 팔뚝 굉, 갈 지, 신하 신
  • : 넓적다리와 팔처럼 나라를 떠받치는 중요한 신하를 의미함.
  • 출전: 《서경(書經)》
  • 활용: 충성스럽고 중요한 신하를 칭찬할 때 사용.

10. 高鳳流麥(고봉유맥)

  • 훈음: 높을 고, 봉황 봉, 흐를 유, 보리 맥
  • : 높은 봉황이 보리밭으로 날아갔다는 뜻으로, 천재나 뛰어난 인재가 비천한 처지에 놓였음을 비유함.
  • 출전: 《후한서(後漢書)》
  • 활용: 인재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할 때 사용.

어렵다. 지금 봐도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