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3)
-
부수214자 익히기2 - '丨(뚫을 곤)'을 부수로 하는 한자
부수214자 익히기2 - '丨(뚫을 곤)'을 부수로 하는 한자1. 丨 (뚫을 곤) 훈음: 뚫을 곤총획: 1획육서: 지사자 (세로획으로 "설문해자"의 해석처럼 "위아래로 관통한 것"을 말함)* 현대 한자에서는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없다.쓰임: 丨으로 구성된 글자는 모두 '관통하다'는 뜻이 있다. 2. 中 (가운데 중)훈음 : 가운데 중총획 : 4획육서 : 상형자 ( 갑골문에서 보면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을 그림)한자어 : 중앙(中央), 중심(中心), 적중(的中)성어 : 십중팔구(十中八九), 백발백중( 百發百中) 3. 串 (곶 곶, 꿸 천, 꿸 관, 익을 관)훈음: 곶 곶, 꿸 천총획: 7획육서: 상형자 (어떤 물건을 꼬챙이로 꿰놓은 모습인데,지금의 꼬치와 같은 것으로 생각하면 됨)* 「관」의 본음(本音)..
2024.07.25 -
속담과 성어를 연결하기 1탄
속담과 성어 연결하기 1탄 꿩 대신 닭아티스트박시형앨범토토의 이야기나라 6집발매일1970.01.011. 속담: 꿩 대신 닭 - 상황: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비슷한 것으로 대체해야 하는 상황. - 속담 유래: 사냥에서 원하는 꿩을 잡지 못했을 때 그와 비슷한 닭으로 대신하는 상황에서 유래. 흔히 최선이 아니더라도 대안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의미. - 성어: 이여반장(以如反掌) 이여반장(易如反掌) - 성어 유래: 손바닥 뒤집기만큼 쉬운 일을 뜻하지만, 여기서는 적절한 대안을 찾는 것을 의미로 사용. 2. 속담: 하늘의 별 따기 - 상황: 이루기 매우 어려운 일을 묘사할 때. - 속담 유래: 하늘의 별을 따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일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 - 성어: 천신만고(千辛..
2024.07.19 -
부수214자 익히기1 - '一(한일)'을 부수로 하는 한자
1. 一 (한 일)훈음: 한 일총획: 1획육서: 상형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숫자 '1'을 나타냅니다.)한자어: 일심 (一心), 일체 (一切), 일관 (一貫)고사성어: 일석이조 (一石二鳥) 2. 丁 (장정 정) 훈음: 장정 정총획: 2획육서: 상형 (상형 문자로, 원래 못의 머리를 그린 독립 글자였으나,못의 옆모습을 그린 지금의 자형으로 변해 '一'부에 귀속하였다.)한자어: 정년(丁年), 장정(壯丁)고사성어: 목불식정( 目不識丁) 3. 七 (일곱 칠)훈음: 일곱 칠총획: 2획육서: 지사 (갑골문에서 '十'자 모양으로 그려져어떤 물건에 칼집을 낸 모습이었는데,이후 '일곱'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어 사용되고 있다.)한자어: 칠석 (七夕), 칠십 (七十)고사성어: 칠전팔기 (七顚八起) 4. 三 ..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