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검정회 준2급 한문 익히기 -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2024. 11. 8. 22:55ㆍ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728x90
오늘 읽는 시는 조선 개국 공신 정도전님의 시이다.
적어도 내가 아는 정도전은 참으로 도전적이고 진취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나라를 세우기위해서 많은 사람을 죽이는 장면이 강하게 어필되어서 인듯한다.
하지만, 이 분 역시 문장가였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부분 중 하나인듯 하다.
그럼, 감상 한편 하겠습니다.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秋陰漠漠四山空한데
落葉無聲滿地紅이라
立馬溪橋問歸路하니
不知身在畫圖中이라
가을 구름이 낮게 깔린 가운데 사방의 산이 텅 비어 있는데,
낙엽이 소리 없이 떨어져 온 땅이 붉게 물들었네.
시냇가 다리 위에 말을 세우고 돌아가는 길을 물으니,
내가 마치 그림 속에 있는 줄 몰랐구나.
◎지은이: 정도전(鄭道傳, 1342-1398) - 조선의 개국공신, 유학자, 호는 三峰.
◎형식: 七言絶句(韻字: 1句-空, 2句-紅, 4句-中).
◎감상: 김거사가 살고있는 시골집을 찾아갔다가 스스로 한 폭의 그림 속에 서 있는 무아(無我)의 경지를 읊은 작품이다.
◎이 시는 칠언 절구로 쓰였으며, **공(空), 홍(紅), 중(中)**의 운을 맞추어 짝을 이루고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로 『삼봉집(三峯集)』 권2에 실려 있다.
내용
김거사가 살고 있는 시골집을 찾아갔다가 스스로 한폭의 그림 속에 서 있는 무아(無我)의 경지를 읊은 작품이다.
제 1·2구 “가을 구름 흩어지고 온 산은 텅비었는데 소리없이 지는 잎새 온 땅에 빠알갛다(秋雲漠漠四山空 落葉無聲滿地紅).”는 작자가 찾아갔던 곳의 경관을 포괄적으로 묘사하면서도 그 속의 움직임을 담담하게 드러내어 정중동(靜中動)의 시상으로 서두를 삼았다.
제3·4구 “시냇가에 말 세우고 돌아가는 길 물을 제, 아지 못게라 이내 몸 그림 속에 있는 줄을(立馬溪橋問歸路 不知身在畵圖中).”은 마치 산수화 속의 한 나그네를 묘사하듯이 거사를 만나고 돌아오는 작자의 정감을 아낌없이 유로(流露)하고 있어 호매(豪邁)한 그의 시세계를 한눈으로 읽게 해준다.
의의와 평가
허균(許筠)은 “영롱하고 자유로워 넉넉히 당시(唐詩)의 수준에 들어간다.” 라고 평하였다.
출전 : [네이버 지식백과] 방김거사야거 [訪金居士野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각 한자의 훈음, 부수, 활용 한자어
1. 訪 (방문할 방)
- 훈음: 방문할 방
- 부수: 言(말씀 언)
- 활용 한자어: 방문(訪問), 탐방(探訪)
2. 金 (성 김, 쇠 금)
- 훈음: 성 김, 쇠 금
- 부수: 金(쇠 금)
- 활용 한자어: 김씨(金氏), 금속(金屬), 황금(黃金)
3. 居 (살 거)
- 훈음: 살 거
- 부수: 尸(주검 시)
- 활용 한자어: 거주(居住), 주거(住居), 안거(安居)
4. 士 (선비 사)
- 훈음: 선비 사
- 부수: 士(선비 사)
- 활용 한자어: 학사(學士), 사관(士官), 군사(軍士)
5. 野 (들 야)
- 훈음: 들 야
- 부수: 里(마을 리/이)
- 활용 한자어: 야외(野外), 야생(野生), 평야(平野)
6. 居 (살 거)
- 훈음: 살 거
- 부수: 尸(주검 시)
- 활용 한자어: 거처(居處), 여유(餘居), 안거(安居)
7. 秋 (가을 추)
- 훈음: 가을 추
- 부수: 禾(벼 화)
- 활용 한자어: 추석(秋夕), 만추(晩秋), 춘추(春秋)
8. 陰 (그늘 음)
- 훈음: 그늘 음
- 부수: 阜(언덕 부)
- 활용 한자어: 음양(陰陽), 음성(陰性), 음기(陰氣)
9. 漠 (아득할 막)
- 훈음: 아득할 막
- 부수: 水(물 수)
- 활용 한자어: 막막(漠漠), 사막(沙漠), 쓸쓸할 막(寞寞)
10. 四 (넉 사)
- 훈음: 넉 사
- 부수: 囗(에울 위)
- 활용 한자어: 사방(四方), 사계(四季), 사해(四海)
11. 山 (산 산)
- 훈음: 산 산
- 부수: 山(산 산)
- 활용 한자어: 산수(山水), 등산(登山), 화산(火山)
12. 空 (빌 공)
- 훈음: 빌 공
- 부수: 穴(구멍 혈)
- 활용 한자어: 공허(空虛), 공간(空間), 공기(空氣)
13. 落 (떨어질 락)
- 훈음: 떨어질 락
- 부수: 艸(풀 초)
- 활용 한자어: 낙엽(落葉), 추락(墜落), 하락(下落)
14. 葉 (잎 엽)
- 훈음: 잎 엽
- 부수: 艸(풀 초)
- 활용 한자어: 낙엽(落葉), 엽서(葉書), 어엽(魚葉)
15. 無 (없을 무)
- 훈음: 없을 무
- 부수: 火(불 화)
- 활용 한자어: 무효(無效), 무한(無限), 무명(無名)
16. 聲 (소리 성)
- 훈음: 소리 성
- 부수: 耳(귀 이)
- 활용 한자어: 음성(音聲), 소리 성(聲音), 공명(共鳴)
17. 滿 (찰 만)
- 훈음: 찰 만
- 부수: 水(물 수)
- 활용 한자어: 만족(滿足), 충만(充滿), 원만(圓滿)
18. 地 (땅 지)
- 훈음: 땅 지
- 부수: 土(흙 토)
- 활용 한자어: 지구(地球), 지하(地下), 지도(地圖)
19. 紅 (붉을 홍)
- 훈음: 붉을 홍
- 부수: 糸(실 사)
- 활용 한자어: 홍조(紅潮), 홍수(洪水), 붉은 빛 홍(紅色)
20. 立 (설 립)
- 훈음: 설 립
- 부수: 立(설 립)
- 활용 한자어: 입장(立場), 독립(獨立), 입사(入社)
21. 馬 (말 마)
- 훈음: 말 마
- 부수: 馬(말 마)
- 활용 한자어: 마차(馬車), 말 마(馬主), 기마(騎馬)
22. 溪 (시내 계)
- 훈음: 시내 계
- 부수: 水(물 수)
- 활용 한자어: 계곡(溪谷), 협곡(峽谷), 강 계(江溪)
23. 橋 (다리 교)
- 훈음: 다리 교
- 부수: 木(나무 목)
- 활용 한자어: 교량(橋梁), 육교(陸橋), 다리 교(鐵橋)
24. 問 (물을 문)
- 훈음: 물을 문
- 부수: 口(입 구)
- 활용 한자어: 질문(質問), 문의(問議), 설문(設問)
25. 歸 (돌아갈 귀)
- 훈음: 돌아갈 귀
- 부수: 止(그칠 지)
- 활용 한자어: 귀가(歸家), 귀국(歸國), 복귀(復歸)
26. 路 (길 로)
- 훈음: 길 로
- 부수: 足(발 족)
- 활용 한자어: 도로(道路), 로선(路線), 경로(經路)
27. 不 (아닐 불)
- 훈음: 아닐 불
- 부수: 一(한 일)
- 활용 한자어: 불가(不可), 부정(不正), 불신(不信)
28. 知 (알 지)
- 훈음: 알 지
- 부수: 矢(화살 시)
- 활용 한자어: 지식(知識), 지혜(智慧), 인지(認知)
29. 身 (몸 신)
- 훈음: 몸 신
- 부수: 身(몸 신)
- 활용 한자어: 신체(身體), 자신(自身), 출신(出身)
30. 在 (있을 재)
- 훈음: 있을 재
- 부수: 土(흙 토)
- 활용 한자어: 현재(現在), 존재(存在), 재직(在職)
31. 畫 (그림 화)
- 훈음: 그림 화
- 부수: 田(밭 전)
- 활용 한자어: 화가(畫家), 삽화(插畫), 만화(漫畫)
32. 圖 (그림 도)
- 훈음: 그림 도
- 부수: 囗(큰입구)
- 활용 한자어: 도서(圖書), 지도(地圖), 설계도(設計圖)
33. 中 (가운데 중)
- 훈음: 가운데 중
- 부수: 丨(뚫을 곤)
- 활용 한자어: 중심(中心), 중화(中華), 중단(中斷)
728x90
반응형
'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검정회 준2급 한시 익히기 4탄 - 大丈夫 (9) | 2024.11.10 |
---|---|
대한검정회 준2급 한문익히기 3탄 - 두보의 <江碧鳥逾白> (8) | 2024.11.09 |
대한 검정회 준2급 한문익히기 - <松下問答(송하문답)> (14) | 2024.11.07 |
대한검정회7급 단어 익히기 유튜브 공유 (6) | 2024.09.27 |
대한 검정회 8급 한자 연습문제 풀기(1) (0) | 202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