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검정회 준2급 한시 익히기 4탄 - 大丈夫

2024. 11. 10. 23:37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728x90

오늘 익힐 한시 역시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대부분 실려있는 한시이다.

이 시를 읽을 때마다. 남이장군에게는 죄송스럽지만, 개인적으로 허풍이 세시네요.~~ 하면서 읽었던 기억이 있다.

사실 이순신 장군은 그 시절 아직 벼슬도 못했기 때문이다. ㅎㅎㅎ

하지만, 본 시 속에는 대장부의 기개가 넘침은 절대 웃을 수 없는 표현력에 감동을 받기도 했다.

정말 현 시대에 이런 기개를 품은 자가 과연 몇 이나 있을지...

그럼, 조선시대 남이 장군이 되어 시를 읊어 보길 바란다.

 

<大丈夫(대장부)>

白頭山石磨刀盡(백두산석마도진)이요 豆滿江水飮馬無(두만강수음마무)라.

男兒二十未平國(남아이십미평국)이면 後世誰稱大丈夫(후세수칭대장부)리오.

 

백두산의 돌은 칼을 갈아 다하고 / 두만강의 물은 말을 먹여 다 없애리라.

남아 이십에 나라를 평안하게 못하면 / 후세에 누가 대장부라 부르리오.

지은이: 남이 장군(南怡, 1441~1468)은 조선 세조 시기의 무장으로, 뛰어난 무예와 지략을 갖춘 인물로 알려져 있다. 어려서부터 무예에 뛰어나며, 17세에 과거 급제 후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19세 때 여진족이 국경을 침범했을 때, 남이 장군은 이를 성공적으로 진압해 이름을 날렸고, 이어 이 시에서처럼 대장부의 기상을 보여주며 백두산과 두만강까지 널리 퍼진 그의 위상을 알렸다.

하지만 남이 장군은 세조 사후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훈구파와의 대립 속에서 모함을 받아, 27세에 억울하게 처형당하는 비운을 맞았다. 비록 짧은 생애였지만, 남이 장군의 의로운 무장으로서의 삶과 충성심은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이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형식: 七言絶句(韻字: 2-, 4-).

감상: 이 구절은 백두산과 두만강을 배경으로 한 결의를 보여주며, 큰 목표를 성취하지 못하면 진정한 대장부라 할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담고 있으며,  대장부의 웅혼한 기상과 장수다운 패기를 들어내어 국가와 민족을 위한 자신의 포부를 읊었다.

그럼, 추가로 각 한자를 풀어본다.


각 한자의 설명

  1. 白(흰 백)
    • 훈음: 흰, 하얗다
    • 부수: 白
    • 활용 한자어: 백색(白色), 백성(百姓)
  2. 頭(머리 두)
    • 훈음: 머리
    • 부수: 頁
    • 활용 한자어: 두뇌(頭腦), 선두(先頭)
  3. 山(산 산)
    • 훈음: 산
    • 부수: 山
    • 활용 한자어: 산악(山岳), 등산(登山)
  4. 石(돌 석)
    • 훈음: 돌
    • 부수: 石
    • 활용 한자어: 암석(巖石), 석회(石灰)
  5. 磨(갈 마)
    • 훈음: 갈다
    • 부수: 石
    • 활용 한자어: 연마(硏磨), 마찰(摩擦)
  6. 刀(칼 도)
    • 훈음: 칼
    • 부수: 刀
    • 활용 한자어: 도검(刀劍), 단도(短刀)
  7. 盡(다할 진)
    • 훈음: 다하다
    • 부수: 皿
    • 활용 한자어: 진력(盡力), 최진(最盡)
  8. 豆(콩 두)
    • 훈음: 콩
    • 부수: 豆
    • 활용 한자어: 두유(豆乳), 두부(豆腐)
  9. 滿(찰 만)
    • 훈음: 차다
    • 부수: 水
    • 활용 한자어: 만개(滿開), 충만(充滿)
  10. 江(강 강)
    • 훈음: 강
    • 부수: 水
    • 활용 한자어: 강산(江山), 황하강(黃河江)
  11. 水(물 수)
    • 훈음: 물
    • 부수: 水
    • 활용 한자어: 수리(水利), 수산(水産)
  12. 飮(마실 음)
    • 훈음: 마시다
    • 부수: 飠
    • 활용 한자어: 음료(飮料), 흡음(吸飮)
  13. 馬(말 마)
    • 훈음: 말
    • 부수: 馬
    • 활용 한자어: 마차(馬車), 기마(騎馬)
  14. 無(없을 무)
    • 훈음: 없다
    • 부수: 灬
    • 활용 한자어: 무효(無效), 무한(無限)
  15. 男(사내 남)
    • 훈음: 사내
    • 부수: 田
    • 활용 한자어: 남성(男性), 남자(男子)
  16. 兒(아이 아)
    • 훈음: 아이
    • 부수: 儿
    • 활용 한자어: 아동(兒童), 어린이(兒子)
  17. 二(두 이)
    • 훈음: 둘
    • 부수: 二
    • 활용 한자어: 이중(二重), 이차원(二次元)
  18. 十(열 십)
    • 훈음: 열
    • 부수: 十
    • 활용 한자어: 십자(十字), 십년(十年)
  19. 未(아닐 미)
    • 훈음: 아니다
    • 부수: 木
    • 활용 한자어: 미정(未定), 미래(未來)
  20. 平(평평할 평)
    • 훈음: 평평하다
    • 부수: 干
    • 활용 한자어: 평화(平和), 평등(平等)
  21. 國(나라 국)
    • 훈음: 나라
    • 부수: 囗
    • 활용 한자어: 국가(國家), 국기(國旗)
  22. 後(뒤 후)
    • 훈음: 뒤
    • 부수: 彳
    • 활용 한자어: 후세(後世), 후회(後悔)
  23. 世(세상 세)
    • 훈음: 세상
    • 부수: 一
    • 활용 한자어: 세계(世界), 세상(世上)
  24. 誰(누구 수)
    • 훈음: 누구
    • 부수: 言
    • 활용 한자어: 수유(誰誘)
  25. 稱(일컬을 칭)
    • 훈음: 일컫다
    • 부수: 禾
    • 활용 한자어: 칭호(稱號), 칭찬(稱讚)
  26. 大(큰 대)
    • 훈음: 크다
    • 부수: 大
    • 활용 한자어: 대장부(大丈夫), 대사(大事)
  27. 丈(어른 장)
    • 훈음: 어른
    • 부수: 一
    • 활용 한자어: 장대(丈大)
  28. 夫(사내 부)
    • 훈음: 사내
    • 부수: 大
    • 활용 한자어: 부부(夫婦), 남편(丈夫)

 

오늘도 졸지 않고 마무리했다.

내일은 준2급 한시부분 마지막 최치원의 <秋夜雨中>을 기록하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