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검정회 준2급 한문 4탄 - <登龍門(등용문)>

2024. 11. 15. 23:17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728x90

<登龍門(등용문)>

河津은 一名龍門이라 水險不通하고 魚鼈之屬도 莫能上이라.

江海大魚가 薄集龍門下數千이로대 不得上이요 上則爲龍이라.

 

하진은 일명 용문이라 한다. 물이 험해 통행하지 못하고 물고기와 자라의 무리도 능히 오를 수 없다. 강과 바다의 큰 물고기들이 용문 아래로 수천이 모여들되 오르지 못하니 오르기만 하면 용이 된다고 한다.

제목: <登龍門(등용문)>.

<등용문(登龍門)>의 원문은 중국 고대 문헌에서 유래된 설화로, 대표적으로 『후한서(後漢書)』 및 기타 사서에서 등장한다. 본 문장은 등용문의 의미와 유래를 설명하기 위해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등용문 설화는 황하(黃河)의 험난한 여울 중 하나인 **용문(龍門)**을 거슬러 오르는 잉어가 성공하면 용이 된다는 전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설화는 고대 중국에서 개인의 성공, 특히 과거시험(科擧試驗)을 통과하여 출세하거나 높은 관직에 오르는 것을 상징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많이 인용된다.

이 글은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면 반드시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교훈을 전달하고자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과거제도가 매우 엄격하고 경쟁이 치열했던 시대적 배경에서, 이를 격려하고 희망을 주는 목적이 담겨 있다.

<후한서(後漢書)>: 중국(中國) 후한(後漢)의 역사를 기록한 正史(정사).

一名(일명): 따로 부르는 이름.

龍門: 河津은 황하의 동쪽에 있는 고을로, 지금 산서성(山西省) 직산현(稷山縣)에 있으며, 이 직산현 서쪽에 급류가 흐르는 용문이 있음.

(엷을,모일박), 薄集(박집): 모여들이다. 不得(부득): 할 수 없다.(=莫能)

 


추가 한자 풀이

  1. 登 (등)
    • 훈음: 오를 등
    • 부수: 癶 (팔 팔)
    • 총획수: 12획
    • 활용 한자어: 登場(등장), 登高(등고), 登記(등기)
  2. 龍 (용)
    • 훈음: 용 용
    • 부수: 龍 (용 용)
    • 총획수: 16획
    • 활용 한자어: 龍門(용문), 龍王(용왕), 龍頭(용두)
  3. 門 (문)
    • 훈음: 문 문
    • 부수: 門 (문 문)
    • 총획수: 8획
    • 활용 한자어: 入門(입문), 門戶(문호), 開門(개문)
  4. 河 (하)
    • 훈음: 강 하
    • 부수: 水 (물 수)
    • 총획수: 8획
    • 활용 한자어: 河川(하천), 長河(장하), 河口(하구)
  5. 津 (진)
    • 훈음: 나루 진
    • 부수: 水 (물 수)
    • 총획수: 10획
    • 활용 한자어: 渡津(도진), 津梁(진량)
  6. 險 (험)
    • 훈음: 험할 험
    • 부수: 阜 (언덕 부)
    • 총획수: 15획
    • 활용 한자어: 險難(험난), 冒險(모험)
  7. 魚 (어)
    • 훈음: 물고기 어
    • 부수: 魚 (물고기 어)
    • 총획수: 11획
    • 활용 한자어: 魚類(어류), 魚市場(어시장)
  8. 龍 (용) (중복)
    • 위에서 풀이함.
  9. 爲 (위)
    • 훈음: 할 위
    • 부수: 爪 (손톱 조)
    • 총획수: 12획
    • 활용 한자어: 爲人(위인), 爲政(위정)

문장의 주제와 어법 설명

주제

등용문 설화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자만이 큰 성공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이 문장은 개인의 노력이 중요하며, 환경적 어려움을 이겨내는 자에게 주어진 보상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어법 설명

  1. 對仗 (대구법)
    • "魚鼈之屬도 莫能上이라"와 "上則爲龍이라"가 대구를 이루며 강약을 조화롭게 나타냄.
  2. 譬喩 (비유법)
    •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 과정은 인간의 삶에서 도약의 순간을 은유적으로 표현.
  3. 簡練的 表現 (간결한 표현)
    • 단문 형식으로 명확한 교훈을 전달.
  4. 對比法 (대비법)
    • "不得上(오를 수 없다)"와 "上則爲龍(오르면 용이 된다)"의 대비를 통해 성공과 실패의 명확한 차이를 강조.

추가 해석

등용문은 현재도 학업, 취업, 사회적 성공 등에서 종종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현대에서는 "입시"나 "승진" 같은 경쟁적인 상황을 상징한다.

지금은 많이 보이지 않지만,

예전에는 학원이름이 "등용문"이 많았던 것이 기억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