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검정회 준2급 한문 익히기 1. - <仁人心章>
2024. 11. 12. 21:55ㆍ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728x90
대한검정회 준2급에는 중학교 한문 교과서 중에 출전하는 내용들이다.
한시 5편과 한문 5편인데
오늘부터는 한문을 소개한다.
오늘 소개하는 글은 맹자의 고자 상편에 나오는 글귀이다.
그럼 어떠한 내용인지 한 번 읽어보자.

<仁人心章>
孟子曰
仁은 人心也요. 義는 人路也어늘 舍其路而不由하며 放其心而不知求하나니 哀哉라.
人有雞犬放이면 則知求之호되 有放心而不知求하나니 學問之道는 無他라.
求其放心而已矣니라.
孟子가 말씀하였다.
“仁은 사람의 마음이요 義는 사람의 길이다. 그 길을 버리고 따르지 않으며 그 마음을 잃고 찾을 줄을 모르니, 애처롭다.
사람들은 닭과 개가 도망가면 찾을 줄을 알지만 마음을 잃고서는 찾을 줄을 알지 못하니, 學問하는 방법은 딴 것이 없다.
그 放心을 찾는 것일 뿐이다.”
이 구절의 출전은 《맹자》(孟子) ‘고자장구(告子章句)’ 상편 제11장입니다.
이 구절에서는 맹자가 사람의 마음과 도리를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학문의 본질을 잃어버린 마음을 되찾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각 한자의 훈음, 부수, 총획, 활용 한자어
- 仁
- 훈음: 어질 인
- 부수: 人 (사람 인)
- 총획: 4획
- 활용 한자어: 仁義 (인의), 仁愛 (인애), 仁德 (인덕)
- 人
- 훈음: 사람 인
- 부수: 人 (사람 인)
- 총획: 2획
- 활용 한자어: 人物 (인물), 人類 (인류), 人間 (인간)
- 心
- 훈음: 마음 심
- 부수: 心 (마음 심)
- 총획: 4획
- 활용 한자어: 心情 (심정), 心理 (심리), 忠心 (충심)
- 義
- 훈음: 옳을 의
- 부수: 羊 (양 양)
- 총획: 13획
- 활용 한자어: 義務 (의무), 義理 (의리), 大義 (대의)
- 路
- 훈음: 길 로
- 부수: 足 (발 족)
- 총획: 13획
- 활용 한자어: 道路 (도로), 進路 (진로), 路線 (노선)
- 舍
- 훈음: 집 사, 버릴 사
- 부수: 舍 (집 사)
- 총획: 8획
- 활용 한자어: 宿舍 (숙사), 捨身 (사신)
- 求
- 훈음: 구할 구
- 부수: 水 (물 수)
- 총획: 7획
- 활용 한자어: 要求 (요구), 求人 (구인), 追求 (추구)
- 哀
- 훈음: 슬플 애
- 부수: 口 (입 구)
- 총획: 9획
- 활용 한자어: 哀悼 (애도), 悲哀 (비애)
- 學
- 훈음: 배울 학
- 부수: 子 (아들 자)
- 총획: 16획
- 활용 한자어: 學生 (학생), 學校 (학교), 學問 (학문)
- 道
- 훈음: 길 도
- 부수: 辶 (쉬엄쉬엄 갈 착)
- 총획: 12획
- 활용 한자어: 道理 (도리), 修道 (수도), 指導 (지도)
본문에 나타난 한자 문법
- 인칭 대명사
- "其"는 ‘그의, 그것의’라는 의미로, 3인칭 대명사로 쓰였습니다. "其路"와 "其心"에서 '그 길', '그 마음'이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 접속사의 생략
- "仁은 人心也요 義는 人路也니라"에서, "也"가 쓰여 문장의 끝에서 강조의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두 문장 모두 주어와 서술어 사이에 접속사가 생략되어 대구의 형식을 이룹니다.
- 상대적 강조 표현
- "舍其路而不由하며"와 "放其心而不知求하나니"에서 "而"는 '~하고서도'의 뜻으로 두 문장 간의 대비와 강조를 나타냅니다.
그럼 다음 글을 기대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검정회 준2급 한문 4탄 - <登龍門(등용문)> (2) | 2024.11.15 |
---|---|
대한검정회 준2급 한문 2탄 - 矛盾 (3) | 2024.11.13 |
대한검정회 준2급 한시 익히기 4탄 - 大丈夫 (9) | 2024.11.10 |
대한검정회 준2급 한문익히기 3탄 - 두보의 <江碧鳥逾白> (8) | 2024.11.09 |
대한검정회 준2급 한문 익히기 -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10)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