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3. 11:00ㆍ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재미가 있다...공부한것을 정리해서 포스팅으로 올리는 일이...
혼자만의 정리인데도 남이 볼수도 있다 생각에 한 번 더 보니 덤이다.^^
《대학(大學)》 개요
《대학》은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 중 하나로, 본래는 《예기(禮記)》의 한 편이었으나, 송대 주자(朱熹)에 의해 독립된 경전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유학의 근본 이념인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사상을 핵심으로 삼고 있으며, 지도자의 자기 수양과 사회적 실천의 연결 고리를 강조합니다.
주자의 주석에 따라 《대학》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집니다.
1. 경(經): 《대학》의 중심 사상을 간결하게 요약한 부분 (원래 본문)
2. 전(傳): 증자(曾子)의 설명으로 이루어진 본문 해설
3. 주석(註): 주희(朱熹)의 설명 (송대 이후 추가된 부분)
오늘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 《대학》부분입니다
《대학》은 문제 중 1~10번에 해당하죠.
대사범 문제는 사실 어렵지 않습니다.
4서3경을 완독하셨다면...ㅠㅠ
저는 시험을 준비로 해서 어려웠던 기억이...
지금 교재작성을 위해 준비하다보니...너무 재미 있습니다.
.주저리주저리 ^^
1. “所謂平天下…” 구절
> 위치: 《대학》 본문 중 **전(傳)**의 일곱 번째 부분
내용 요약: 정치 지도자의 도덕적 모범이 백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며, 천하의 평화를 이루기 위한 조건으로 지도자의 행실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근본은 스스로를 바로잡는 데 있다
1. 원문 및 독음
所謂平天下가 在治其國者는 上老老하면 而民興孝하며 上長長하면 而民興弟하며 上恤孤하면 而民不倍하나니 是以로 君子有絜矩之道也니라
소위 평천하가 재치기국자는 상로로하면 이민흥효하며, 상장장하면 이민흥제하며, 상휼고하면 이민불배하나니, 시이로 군자유혈구지도야니라
2. 해석
천하를 평화롭게 한다는 말은, 그 근본이 나라를 잘 다스리는 데 있다는 뜻입니다. 윗사람이 노인을 공경하면 백성들은 자연스레 부모를 효도하고, 어른을 존경하면 백성들은 형제 간에 우애하며, 고아를 불쌍히 여기면 백성들도 서로를 저버리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까닭에 군자는 반드시 ‘혈구(絜矩)의 도’, 즉 모범을 보이며 법도를 세우는 도리를 갖추어야 합니다.
3. 어휘 풀이
所謂(소위): 흔히 말하는 바, 이른바
平天下(평천하): 천하를 다스려 평화롭게 함
治其國(치기국): 그 나라를 다스림
上老老(상로로): 윗사람이 늙은이를 공경함
興孝(흥효): 효도가 일어남, 백성들이 효를 실천함
恤孤(휼고): 고아를 불쌍히 여김
不倍(불배): 저버리지 않음, 배반하지 않음
絜矩(혈구): ‘자로 재고 곱씹는다’는 뜻으로, 본보기를 통해 남을 교화하는 방법
4. 전고 및 현대적 의미
이 구절은 유교 정치사상에서 매우 중요한 원칙인 "위로부터의 감화’(上行下效)"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지도자의 행실이 민심을 좌우하며, 윗사람이 도리를 지키면 아래 사람은 자연스럽게 그 본을 따르게 됩니다. 오늘날의 리더십 이론에서도 본보기로서의 리더가 갖는 영향력은 중요한 논제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
2. “詩云 樂只君子…” 구절
> 위치: 역시 《대학》 **전(傳)**의 마지막 부분
출전 인용: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南山有臺’에서 인용된 시 구절
내용 요약: 군자가 백성을 부모처럼 사랑하고, 백성이 좋아하는 것을 함께 기뻐하며, 미워하는 것을 함께 멀리해야 한다는 민본정신을 강조합니다.
1.원문 및 독음
詩云 樂只君子여 民之父母라 하니 民之所好를 好之하며 民之所惡를 惡之가 此之謂民之父母니라
시운 락지군자여 민지부모라 하니, 민지소호를 호지하며 민지소오를 오지가 차지위민지부모니라
2.해석
『시경』에 이르기를, "즐겁고 훌륭한 군자여, 백성의 부모로다" 하였습니다. 백성이 좋아하는 것을 군자가 좋아하고, 백성이 싫어하는 것을 군자가 싫어하는 것, 이것이 바로 백성의 참된 부모와 같은 존재라는 뜻입니다.
3. 어휘 풀이
詩云(시운): 『시경』에 이르기를
樂只君子(낙지군자): 즐겁고 훌륭한 군자
民之父母(민지부모): 백성의 부모와 같은 존재
所好(소호), 所惡(소오): 좋아하는 바, 싫어하는 바
好之(호지), 惡之(오지): 그것을 좋아하다, 그것을 싫어하다
謂(위): 이른다, 말하다
4. 전고 및 현대적 의미
이 구절은 『시경』 「소아」의 ‘빈풍’에서 따온 말로, 지도자는 백성을 부모처럼 아껴야 한다는 유가 정치철학의 핵심을 담고 있습니다. 리더는 자신의 감정이나 이익이 아닌, 백성의 기쁨과 고통을 먼저 헤아려야 한다는 민본주의 정신을 잘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이처럼 《대학》은 한 사람의 수양이 가정, 사회, 국가, 천하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확산적 윤리 구조를 바탕으로, 리더의 도덕성과 실천력을 중시합니다.
고전의 말씀을 오늘날의 사회 리더십, 교육철학과 연결지어보면 큰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고전 구절들은 단지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의 정치, 교육, 조직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유효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대한검정회한자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 ..굴원의 고뇌와 어부의 웃음" (4) | 2025.04.24 |
---|---|
대한검정회 대사범 ...『중용장구서』에서 배우는 도통의 연속성과 전승의 책임 (1) | 2025.04.24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 ...【고전산문 깊이 읽기 – 韓愈 「師說」】 (2) | 2025.04.23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 고전우화 – 「禦眠楯(어면순)」 :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자 (2) | 2025.04.23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논어(論語)》덕과 절제에 대한 공자의 깊은 가르침이 담긴 구절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