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3)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논어(論語)》덕과 절제에 대한 공자의 깊은 가르침이 담긴 구절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 풀이《논어(論語)》에서 덕과 절제에 대한 공자의 깊은 가르침이 담긴 구절원문> 子曰 : 益者 三樂오 損者 三樂이니樂節禮樂하며 樂道人之善하며 樂多賢友하면 益矣오樂驕樂하며 樂佚遊하며 樂宴樂하면 損矣니라子曰 : 君子有三戒하니少之時에 血氣未定이라 戒之在色이오及其壯也하여 血氣方剛이라 戒之在鬪오及其老也하여 血氣既衰라 戒之在得이니라---독음> 자왈 : 익자 삼락오 손자 삼락이니낙절예악하며 낙도인지선하며 낙다현우하면 익의오낙교락하며 낙일유하며 낙연락하면 손의니라자왈 : 군자유삼계하니소지시에 혈기미정이라 계지재색이오급기장야하여 혈기방강이라 계지재투오급기로야하여 혈기기쇠라 계지재득이니라---해석공자께서 말씀하셨다.이로운 세 가지 즐거움이 있고, 해로운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예악(禮樂)을 절도..
2025.04.22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 . 《대학》에서 배우는 德治(덕으로 다스리는 길)
《대학》에서 배우는 德治(덕으로 다스리는 길)원문> 詩云 殷之未喪師에 克配上帝러니 儀監于殷이어다 峻命不易라하니道得衆則得國하고 失衆則失國이니라是故로 君子는 先愼乎德이니有德이면 此有人이요有人이면 此有土요有土면 此有財요有財면 此有用이니라---독음> 시운 언지미상사에 극배상제러니 의감우은이어다 준명불이이라하니도득중즉득국하고 실중즉실국이니라시고로 군자는 선신호덕이니유덕이면 차유인이요유인이면 차유토요유토면 차유재요유재면 차유용이니라---해석《시경》에 이르기를,"은나라가 그 군사력을 잃기 전에는, 하늘의 뜻을 잘 받들어 상제(上帝)에 응할 수 있었으니, 은나라의 도는 거울이 될 만하였다.하늘의 엄정한 명(命)은 바꾸기 어렵다."고 하였다.도를 얻어 많은 사람의 마음을 얻으면 나라를 얻고,사람들의 마음을 잃으면 나라를..
2025.04.22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맹헌자의 말에서 배우는 국가 경영의 본질: "국은 의로움을 이익으로 삼는다"
오늘도 한 예문을 풀어보기로 한다.맹헌자의 말에서 배우는 국가 경영의 본질: "국은 의로움을 이익으로 삼는다"고대 중국의 역사서 《춘추좌씨전》에는 맹헌자(孟獻子)의 깊은 통찰이 담긴 말이 전해진다. 이 구절은 단순한 고사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정치와 조직 운영, 나아가 개인의 삶에까지 울림을 주는 지혜를 담고 있다.기출문제 예시문孟獻子曰 畜馬乘은 不察於鷄豚하고 伐冰之家는 不畜牛羊하고 百乘之家는 不畜聚斂之臣하나니 與其有聚斂之臣으론 寧有盜臣이라하니 此謂國은不以利爲利요 以義爲利也니라 맹헌자가 말하기를, ‘마승(馬乘)을 기르는 이는 닭과 돼지를 살피지 아니하고, 얼음을 쓰는 집은 소와 양을 기르지 아니하고, 백승(百乘)의 집은 취렴(聚斂)하는 신하를 기르지 아니하나니, 그 취렴(聚斂)하는 신하를 기르는 것보다는..
2025.04.18 -
한자(대한검정회급수) 대한검정회 대사범금 기출문제.. 상진황축객서 일부
한자(대한검정회급수)대한검정회 대사범금 기출문제.. 상진황축객서 일부사범을 마무리한 학생들을 위해 자료를 만들다시험을 위해 익혔던 나도 다시금 공부하며 글을 올려본다,是以로 地無四方하고 民無異國하여 四時充美하고 鬼神降福하나니 此五帝三王之所以無敵也니이다이 때문에 땅은 사방(四方)을 가릴 것이 없고 백성은 다른 나라를 가릴 것이 없이, 사시사철 충만되고 아름다우며 귀신이 그에게 복을 내려주니, 이것이 오제(五帝)와 삼대(三代)의 왕들이 적이 없었던 이유입니다.( 앞 부분에 삼황오제들이 유세객에 어떠한 정치를 하고, 유세객이 어떤 일들을 하였는지에 대해 이야기 한 부분이 있다) 今乃棄黔首以資敵國하고 郤賓客以業諸侯하여 使天下之士로 退而不敢西向하여 裹足不入秦하시니 此所謂藉寇兵而齎盜糧者也니이다 지금은 백성들을 ..
2025.04.18 -
與與하다? = 위의하다? 원문보다 뜻이 더어려운 번역들..
편입공부하는 아들이 고민하고 방황하기에오전에만 시간이 나서.동행하여 도서관에 두세시간 같이 공부를 하고 있다.집과 도서관 사이에는 공원이 있어 자연의 변화도 함께한다..공부하는 중에 오늘 이런 글이 나왔다..孔子於鄉黨에 恂恂如也하사 似不能言者러시다 其在宗廟朝廷하사는 便便言하 사대 唯謹爾러시다 朝에 與下大夫言에 侃侃如也하시며 與上大夫言에 闇闇如 也러시라 君在어시든 踧踖如也하시며 與與如也러시다 君이 召使擯이어시든 色勃如也하시며 足躩如也러시다 揖所與立하시대 左右手러시니 衣前後 襜如也러시다 趨進에 翼如也러시다 賓退어든 必復命曰 賓不顧矣라하시다 「論語」논어의 향당편 중에 나오는 글이다.위에서부터 하나하나 읽고 풀이를 하는데與與如也에서 멈췄다.어휘력 딸림을 알지만.뜻 풀이를 보니"위의가 적중한듯이 하셨다 "라고 풀..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