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
-
대한검정회 대사범..폭군이 된 마지막 왕 – 상나라 주왕 이야기
폭군이 된 마지막 왕 – 상나라 주왕 이야기『史略』 중 商紂王조1. 출전 소개『사략(史略)』은 원나라의 사가 송렴(宋濂)이 편찬한 사서로, 고대부터 송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사건과 인물을 간결하게 정리한 통사적 성격의 책입니다. 아래 구절은 상(商)의 마지막 왕 주왕(紂王)의 방탕과 폭정을 묘사한 부분입니다.2. 원문 · 독음 · 해석原文歷太丁 帝乙하고 至帝辛하니 名은 受오 號為紂라 資辯捷疾 手格猛獸 智足以拒諫 言足以飾非 始爲象箸하니箕子歎曰 彼爲象箸어늘 必不盛以土簋 하고 將為玉杯로다 玉杯象箸면 必不羹藜藿하고 衣短褐하고 而舍茅茨之下하여則錦衣九重과 高臺廣室하리니 稱此以求면 天下不足矣라 紂伐有蘇氏하니 有蘇以妲己로 女焉이라 有寵하야其言을 皆從이러라 厚賦税하야 以實鹿臺之財하고 盈鉅橋之粟하며 廣沙丘苑臺하고 以酒為池..
2025.05.02 -
대한검정회 대사범... 각력지희(角力之戱), 조선의 단오 씨름을 엿보다
원전 소개『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조선 후기 홍석모(洪錫謨, 1781~1857)가 정월부터 12월까지 윤달을 포함한 일 년간의 세시풍속을 집대성한 기록물이다. 호는 도애(陶厓)이며, 벼슬을 그만두고 팔도를 두루 여행하며 수집한 민간 세시와 놀이 풍속을 정리한 이 책은, 중국의 『세시잡기』·『형초세시기』 등 영향 아래 내용이 풍부하게 첨가되고 보완된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지로 평가된다. 편찬자 홍석모는 조선의 관료이자 풍속기록가로, 젊은 시절부터 전국을 유람하며 각 지방의 사례를 취재했다. 그 결과 이 책에는 우리 국토 전역의 풍습이 다양하게 담기게 되었다.원문, 독음, 해석원문: 丁壯年少者 會於南山之倭場이나 北山之神武門後하여 爲角力之戲하여 以賭勝負라。독음: 정장년 소자 회어 남산지 와장이나 북산지 신무..
2025.05.02 -
대한검정회 대사범..“관포지교(管鮑之交), 진짜 친구를 말하다”
시험문제가 이런 글만 나온다면 수험생들이 쉬울까?너무나 익숙한 고사성어네요 그럼 오늘도 시작해보겠습니다.원문 출전출전: 「사략(史略)」내용: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 우정 이야기관련 성어: 관포지교(管鮑之交) — 진실하고 깊은 우정을 뜻함※ 본 이야기는 원래 「사기(史記) 관안열전」에 실린 고사를 줄여 편찬한 역사서인 「사략」에 실려 있습니다.앗, 맞아요! 독음이 빠지면 큰일이죠.다시 정리해드릴게요. 원문-독음-해석 순으로 모바일 복사 용이하게 이어서 써드릴게요.원문 · 독음 · 해석仲의 字난 夷吾니중 의 자 난 이오 니중(仲)의 자는 이오(夷吾)였다.嘗與鮑叔으로 賈할새 分利에 多自與호대상 여 포 숙 으로 고 할 새 분 리 에 다 자 여 호 대일찍이 포숙(鮑叔)과 함께 장사할 적에 이익을 나눌 때..
2025.04.30 -
대한검정회 대사범...「맹자」 告子下 四端章 정리
월요일은 일이 있어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두시간씩 아들과 함께 집근처 도서관에 온답니다.간만에 공부하니 행복하답니다. ㅎ 아들이랑 함께해서 몇배로^^♡♡♡근데...시험준비로 기출문제만 정리하고 있는데도 ㅠ시험기간 끝나고 정말 체계적으로 정리해야할듯 싶어요오전에 도서관 다니는 습관을 사서삼경이. 제 흔적이 지나간것을 확인할때까지 ㅎ아자아자「맹자」 告子下 四端章 정리1. 한자 원문「맹자」 告子下 章句 (四端章) 孟子曰:「人皆有不忍人之心。先王有不忍人之心,斯有不忍人之政矣。有不忍人之心,斯有不忍人之政,治天下可運之掌上。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今人乍見孺子將入於井,皆有怵惕惻隱之心;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非所以要譽於鄉黨朋友也,非惡其聲而然也。由是觀之,無惻隱之心,非人也;無羞惡之心,非人也;無辭讓之心,非人也;無是非之心,非人也。..
2025.04.29 -
대한검정회 대사범 - 『중용』이 가르쳐주는 중(中)과 화(和)의 길
오늘은 집에서 글을 올립니다.매일 도서관에서 공부하다 글을 하나하나 적었는데,컴퓨터로 적으니 좀 더 빨리 써지네요.중용(中庸)에서 배우는 진정한 자기 수양 - 중과 화의 도를 따라서『중용』 소개『중용(中庸)』은 유교의 핵심 경전 중 하나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공자의 가르침을 정리한 책입니다. '중(中)'은 치우치지 않는 균형을, '용(庸)'은 일상 속의 지속적 실천을 뜻합니다. 즉, 『중용』은 순간적인 깨달음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균형과 조화를 실천하는 삶을 강조하는 철학서입니다.특히, 인간의 본성과 천명(天命)의 관계, 도(道)의 본질, 수양과 교육의 방법을 깊이 있게 다루며, 동양 사상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기출문장이 수록된 부분 소개이번에 살펴볼 구절은 『중용』의 ..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