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검정회(30)
-
대한검정회 대사범 “남의 손에 들린 활이 되고 싶은가 – 맹자가 말한 진짜 사람 되는 법”
연휴로 잠시 자료정리를 쉬었습니다.다시금 손가락을 움직여봅니다.1. 출전 소개이 문장은 『맹자(孟子)』의 **「이루편(離婁篇) 상」**에 실린 내용입니다.『맹자』는 유가의 대표적 경전으로, 공자의 사상을 계승·발전시킨 맹자(孟子)의 언행과 사상을 기록한 책입니다.그 중 「이루편」은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수양, 정치의 본질에 대한 맹자의 깊은 사유를 담고 있습니다.이 구절은 인간이 진정한 사람이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인(仁)’의 중요성을 비유와 함께 설명한 부분입니다.2. 원문 · 독음 · 해석原文不仁不智라 無禮無義면 人役也니人役而恥爲役은 由弓人而恥爲弓하며 矢人而恥爲矢也니라如恥之인대 莫如爲仁이니라仁者는 如射하니 射者는 正己而後發하여發而不中이라도 不怨勝己者요 反求諸己而已矣니라독음불인부지라 무례무의면 인역..
2025.05.08 -
대한검정회 대사범- 『대학』 「格物致知章」 해석과 현대적 의미
『대학』 「格物致知章」 해석과 현대적 의미– 유학 고전 속 진리의 근본을 묻다출전 소개: 『대학(大學)』이란?『대학』은 유교의 사서(四書) 중 하나로, 본래 『예기(禮記)』의 한 편이었습니다. 송나라의 유학자 주희(朱熹)에 의해 『논어』, 『맹자』, 『중용』과 함께 사서로 독립되어 후대 유학 교육의 근간이 되었지요.『대학』은 개인 수양에서 시작하여 가정의 다스림(齊家), 나라의 통치(治國), 세상의 평화(平天下)로 확장되는 수기치인의 철학을 담고 있으며, 특히 "三綱領(삼강령)"과 "八條目(팔조목)"이라는 구조를 통해 학문의 실천적 단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해당 문장의 위치이 문장은 『대학』 본문 중에서도 「格物致知章」으로 알려진 부분에 해당합니다. 특히 “格物致知(격물치지)”의 의미를 철학적..
2025.04.25 -
대한검정회 대사범 –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 속 이상의(李尙毅) 이야기에서 배우는 삶의 태도
원해서인가? 강제인가?쉽지 않은 길이다 아래 글을 읽고 나의 자만을 반성한다.매일 울리는 작은 종소리, 나를 다스리는 마음의 훈련–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 속 이상의(李尙毅) 이야기에서 배우는 삶의 태도1. 출전: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이란?『공사견문록』은 조선 후기 학자인 "정재륜(鄭載崙)"이 남긴 책으로,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공적‧사적인 일화들을 기록한 일종의 회고록입니다. 이 책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후대에 전할 만한 인물들의 삶의 자세나 교훈적인 사건들을 담아 지식인 사회에 던지는 성찰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2. 인물 설명: 이상의(李尙毅)이상의(李尙毅, 1623~1690)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공도(公度)입니다. 학문이 깊고 기개가 높았으며, ..
2025.04.25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 ..굴원의 고뇌와 어부의 웃음"
고문진보의 내용은 51~60번에 나오는데 정말 방대하다ㅠㅠ"굴원의 고뇌와 어부의 웃음 ― 『고문진보』 속 가 전하는 시대와 인간의 길"1. 『고문진보』 소개『古文眞寶』(고문진보)는 중국 고대의 뛰어난 산문을 수록한 문선집으로, 명나라 때 장휘(張燬)와 유정(劉瑱)이 편찬하였습니다. 두권으로 나뉘며, 고문(古文)의 정수를 후대에 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습니다. 특히 사대부 지식층의 교양서로 널리 읽혔으며, 논리적이고 문학적인 글쓰기의 전범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어부사(漁父辭)』는 초등(初集)에 실려 있으며, 굴원과 어부의 대화를 통해 현실과 이상, 세속과 고결함의 대립을 철학적으로 풀어낸 작품입니다.---2. 굴원의 생애**굴원(屈原, 기원전 340?~278?)**은 전국시대 초(楚)나라의 시인이자..
2025.04.24 -
대한검정회 대사범 ...『중용장구서』에서 배우는 도통의 연속성과 전승의 책임
#기출문제 31~40에 해당하는 『중용』#『중용장구서』에서 배우는 도통의 연속성과 전승의 책임1. 출전서적명: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편저자: 주희(朱熹), 송나라의 유학자작자: 본 서문은 송대의 유학자 **주희(朱子, 1130–1200)**가 『중용』에 주석을 붙이며 쓴 서문입니다.---2. 원문 및 독음中庸은 何為而作也오 子思子憂道學之失其傳而作也시니라蓋自上古聖神이 繼天立極으로 而道統之傳이 有自來矣라其見於經則「允執厥中」者는 堯之所以授舜也요「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者는 舜之所以授禹也니堯之一言이 至矣盡矣어시늘 而舜이 復益之以三言者는則所以明夫堯之一言을 必如是而後可庶幾也라독음중용은 하위이작야오?자사자 우도학지 실기전 이작야시니라.개자상고 성신이 계천립극으로이도통지전이 유자래의라.기현어경즉 ‘윤집..
2025.04.24 -
대한검정회 대사범 기출문제...《대학(大學)》 백성을 다스리는 근본은 스스로를 바로잡는 데 있다
재미가 있다...공부한것을 정리해서 포스팅으로 올리는 일이...혼자만의 정리인데도 남이 볼수도 있다 생각에 한 번 더 보니 덤이다.^^《대학(大學)》 개요《대학》은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 중 하나로, 본래는 《예기(禮記)》의 한 편이었으나, 송대 주자(朱熹)에 의해 독립된 경전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유학의 근본 이념인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사상을 핵심으로 삼고 있으며, 지도자의 자기 수양과 사회적 실천의 연결 고리를 강조합니다.주자의 주석에 따라 《대학》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집니다.1. 경(經): 《대학》의 중심 사상을 간결하게 요약한 부분 (원래 본문)2. 전(傳): 증자(曾子)의 설명으로 이루어진 본문 해설3. 주석(註): 주희(朱熹)의 설명 (송대..
2025.04.23